본문 바로가기
전기차 이야기

충전구가 앞에 있는 전기차를 사지 말아야 하는 이유

by 분당아재 2025. 11. 14.

"충전구 앞쪽에 있는 전기차, 충전이 불편하다?" 

전기차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전기차의 충전 인프라도 함께 확장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기차의 충전 방식은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충전구 위치입니다.

최근 출시된 제네시스 G80 전기차, 기아 EV5, 기아 PV5 전기차와 같은 모델들은 충전구가 차량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런 배치가 실제로 충전 시 매우 불편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한 경우가 많습니다.

왜 충전구가 앞쪽에 있으면 불편할까?

우리나라는 주차장이 좁기 때문에 운전을 배울 때부터 후면주차를 배웁니다. 

후면주차가 어렵긴 하지만 배워놓으면 좁은 공간에서도 주차를 할 수 있기 때문이죠. 

상대적으로 전면주차는 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주차장에 딱 한자리가 남았을 때 전면 주차로 넣으려면

앞뒤로 몇 번을 더 이동해야 하고 나갈 때도 그만큼 번거롭습니다. 

심지어 주차장이 좁으면 출차를 할 수 없는 상활도 생기죠. 

 

전기차도 대부분 후면 주차를 선호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후면 주차를 하면 차에서 내린 후 바로 충전구가 보이고, 충전 케이블을 꽂는 것도 훨씬 수월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상업 시설이나 아파트와 같은 공간이 좁은 주차장에서 후면 주차는 필수적입니다.

주차 공간이 넓지 않으면 전면 주차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충전구가 앞쪽에 위치한 전기차매번 전면 주차를 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게 됩니다.

 

전면에 충전구가 있는 차량을 후면 주차를 해서 충전을 하려면 충전선을 끌고 와야 하는데

충전선이 짧아서 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 급속 충전은 충전선이 원래 짧아서 이마저도 불가능합니다. 

기아전기차 PV5 충전모습

좁은 주차장에서 전면 주차는 큰 불편함

많은 아파트 단지나 상가, 오피스텔의 주차장은 좁은 공간이 대부분입니다. 전면 주차를 하려면, 차량을 정확하게 앞쪽으로 뻗어나가게 주차해야 하기 때문에 차량이 주변 차량들과의 간격을 맞추는 데 어려움이 생깁니다.

특히, 차량 전면에 충전구가 있는 경우, 충전소가 설치된 주차 공간에 충전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충전 구역 앞쪽으로 충분히 여유 공간이 있어야 합니다. 만약 주차 공간이 좁다면, 충전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해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 휴게소와 같은 넓은 공간은 예외

고속도로 휴게소와 같은 넓은 주차 공간에서는 전면 주차가 비교적 수월하고 충전도 편리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대부분 이용하는 일상적인 주차 공간에서는 주차가 어렵고, 전면 주차로 인한 불편함이 커집니다.

또한, 많은 전기차가 충전 중에 다른 차량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충전 케이블을 정해진 위치에 걸어두는 방식을 요구하는데, 차량의 전면에 충전구가 있으면, 충전 케이블을 정확히 뻗어서 연결하는 것도 불편할 수 있습니다.

충전 편의성을 고려한 설계가 중요

전기차의 충전 편의성은 구매 결정에 있어 중요한 요소입니다. 전면 주차가 불편한 주차 환경에서는 후면 주차가 가능하고, 충전구가 뒷부분에 배치된 모델이 훨씬 실용적입니다. 예를 들어, 테슬라 모델 S와 같은 차량은 후면에 충전구가 배치되어 있어, 대부분의 충전소에서 후진해서 주차한 후 충전할 수 있어 더 효율적이고 편리합니다.

이제 전기차의 충전 인프라디자인 개선이 맞물려야 할 때입니다. 좁은 주차 공간에서도 불편함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충전구 위치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또한, 전기차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앞으로는 더 많은 모델들이 후면 충전구 배치를 채택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습니다.

결론: 충전구 위치의 중요성

충전구가 앞쪽에 위치한 전기차좁은 주차장 환경에서 전면 주차를 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일상적인 사용에서의 불편함을 감수해야 합니다. 물론 고속도로 휴게소와 같은 넓은 공간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도시 주차 환경에서는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제조사들이 차량의 디자인뿐만 아니라 실용성편의성을 동시에 고려한 충전구 위치 설계를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

앞으로의 전기차 시장에서, 더욱 실용적이고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충전구 설계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