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산책

AI로 만든 영상, 이제 유튜브에서 수익 창출은 안되나?

by 분당아재 2025. 7. 21.

유튜브의 새로운 AI 정책: AI 영상, 이제 유튜브에서 수익 창출이 어려워질까?

2025년 7월 15일, 유튜브가 인공지능(AI)으로 생성된 콘텐츠에 대한 수익 창출 정책을 업데이트했습니다.

즉, AI로 찍어내듯 제작한 영상에 대해서는 수익을 주지 않겠다는 내용인데요.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이제 AI로 만든 영상은 수익을 낼 수 없는 것 아닌가?"라는 불안감을 느끼고 있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니오'에 가깝습니다.

이번 정책의 핵심은 AI 기술 자체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 '독창성 없고 성의 없는' 저품질 콘텐츠를 걸러내는 데 있습니다.

무엇이 바뀌었나? '진정성' 없는 콘텐츠에 대한 규제 강화

유튜브는 7월 15일부터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YPP) 가이드라인을 업데이트하여,

'비진정성(inauthentic)' 콘텐츠에 대한 수익 창출을 제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기존에도 있던 '반복적이고 저품질인 콘텐츠'에 대한 규제를 오늘날의 기술 환경에 맞게 더욱 명확히 하고 강화하는 조치입니다.


수익 창출이 제한될 수 있는 주요 콘텐츠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량 생산된 콘텐츠 : 최소한의 인간 개입으로 자동화된 템플릿이나 프로그램을 사용해 대량으로 제작된 영상.

예를 들어, 거의 동일한 형식에 내용만 약간씩 바꿔 찍어내는 영상들이 해당될 수 있습니다.

 

합성 음성 활용 콘텐츠 : 웹사이트, 뉴스 기사, 책 등의 텍스트를 단순히 AI 음성(TTS)으로 읽어주는 영상. 여기에 약간의 이미지나 동영상 클립을 덧붙인 형태의 콘텐츠도 포함됩니다.

 

반복적이고 독창성 없는 콘텐츠: 독창적인 해설이나 교육적 가치, 새로운 관점 없이 다른 사람의 콘텐츠를 그대로 가져오거나 짜깁기한 영상. 단순 이미지 슬라이드쇼나 스크롤 되는 텍스트로만 구성된 영상도 이에 해당합니다.

유튜브는 이러한 유형의 콘텐츠를 일명 'AI 슬롭(AI Slop)', 즉 저품질 AI 콘텐츠로 규정하고 플랫폼의 신뢰성과 광고주를 보호하기 위해 칼을 빼 들었습니다.

 

쇼츠나 릴스에 자주 올라오는 "쇼츠로 돈버는 법"이 바로 이런 것에 해당되죠.

앞으로 이렇게 영상 자동제작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AI로 만든 영상은 조회수가 높아 애드센스 수익을 신청하게 되어도

진정성이 없다거나 가치가 낮은 콘텐츠로 분류되어 애드센스 승인이 나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AI를 활용한 모든 영상이 위험한가? '아니오'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우려하는 부분은 자신이 사용하는 AI 기술이 규제 대상이 될지 여부일 것입니다.

다행히 유튜브는 AI를 창의적인 도구로 활용하는 것 자체를 금지하지 않으며, 오히려 스토리텔링을 향상시키는 도구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AI를 활용하더라도 수익 창출이 가능합니다.

창의적인 변형과 독창적인 기여 : AI를 활용해 생성한 영상이라도 크리에이터의 독창적인 아이디어, 깊이 있는 해설, 유머, 비판 등 '상당한 수준의 인간적 기여'가 포함된 경우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보조 도구로서의 AI 활용 : 영상 편집 과정에서 AI 기반의 배경 제거, 오디오 노이즈 감소, 자막 생성 등의 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전혀 문제없습니다. 대본 작성이나 아이디어 구상에 AI의 도움을 받는 것 또한 창작 과정의 일부로 인정됩니다.

가치 있는 콘텐츠 제공 : AI 기술을 사용했더라도 시청자에게 명확한 정보, 교육적 가치, 또는 즐거움을 제공하는 고품질 콘텐츠는 여전히 환영받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누가 봐도 성의 없이 만들어진 날로 먹는 콘텐츠인지,

아니면 AI를 유용한 도구로 활용하여 만든 가치 있는 콘텐츠 인지의 차이입니다.

 

그동안 날로 먹는 콘텐츠가 넘쳐 났었죠.

자극적인 제목과 자막으로 트래픽 유입을 유도하기도 했었구요.

앞으로는 이런 영상이 많이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크리에이터를 위한 제언: '진정성'과 '독창성'으로 승부하라

이번 유튜브 정책 변경은 AI 시대를 살아가는 크리에이터들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던집니다. 

더 이상 손쉽게 대량으로 콘텐츠를 찍어내는 방식은 통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제 크리에이터들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1.  나만의 목소리를 담아라 : AI는 훌륭한 조수이지만, 콘텐츠의 핵심은 크리에이터의 독창적인 시각과 경험, 그리고 진정성 있는 목소리입니다. 자신만의 스토리를 담아내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2.  AI를 현명하게 활용하라 : AI를 단순히 콘텐츠 '생성' 도구로만 볼 것이 아니라, 아이디어 구상, 자료 조사, 편집 효율화 등 창작의 '과정'을 돕는 파트너로 삼아야 합니다.
3.  가치 제공에 집중하라 : 시청자들이 시간을 내어 내 영상을 봐야 하는 이유, 즉 영상이 주는 정보, 재미, 감동과 같은 핵심 가치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유튜브의 이번 정책 변경은 AI 콘텐츠의 종말이 아닌, '옥석 가리기'의 시작입니다. 

저품질의 스팸성 콘텐츠가 사라진 자리는, AI 기술을 현명하게 활용하여 더욱 풍부하고 독창적인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진정한 크리에이터들의 차지가 될 것입니다.

반응형